구아검가수분해물의 효능과 섭취법, 엄지의 제왕.
생명까지 위협하는 혈전증에 도움을 주는 식재료가 구아검가수분해물이라고 해요.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더라고요. 찾아보니 제품도 많지가 않더라고요. LDL 콜레스테롤도 감소해주고 변비에도 좋아 가족들이 함께 먹어도 좋을 거 같더라고요.
구아검가수분해물의 효능과 섭취법.
구아콩은 인도 북부 사망에서 자라는 콩으로 천년 넘게 척박한 사막에서 구황작물로 재배되고 강한 힘과 수분 보유 능력이 뛰어납니다. 쿠아 콩의 강한 생명력의 비밀은 배유인데 배유는 영양분을 공급, 저장하는 생명의 근원이 된다고 해요.
구아 검가 수분 해물은 구아콩의 배유 부분을 가수 분해해서 만든 것으로 100% 천연 프리바이오틱스라고 해요.
구아검가수분 해물의 효능
1. 콜레스테롤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배유 부분에 영양 성분이 많은데 기능성 식품저널 2016에 따르면 성인 12명을 대상으로 12개월 동안 하루 3번씩 1회 6g을 섭취한 결과 HDL 콜레스테롤이 약 24% 증가했고 LDL 콜레스테롤은 약 15%가 감소했다고 해요.
구아검가수분해물 섭취 시 장내 미생물이 단쇄 지방산을 가장 풍부하게 생성하는데 단쇄 지방산은 식이섬유를 장 내에서 분해해서 지방 축적은 막고 유익균을 증가시키고 지방 축적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해요.

2. 식후 혈당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성인 12명을 대상으로 12개월 동안 하루 3번 1회 6g을 섭취한 결과 3개월 섭취군은 혈당이 약 13% 감소했고 12개월 섭취한 그룹은 혈당이 약 25%나 감소했다고 해요. 6명의 전 당뇨 피험자 중 3명은 구아 검가 수분 해물을 섭취했는데 3개월 후 정상 혈당이 되었다고 해요. 그래서 저도 요거 사서 한번 먹어보려고요. 당뇨 잡는 게 너무 어렵더라고요.
3. 장내 유익균 증식에 도움이 됩니다.
장내 미생물은 우리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생물학연구정보셑너 2019에 따르면 장내 미생물 균형이 깨질 경우 동맥경화, 고혈압, 뇌졸중, 심부전 발병할 수 있어 장내 유익균 지키는 게 중요합니다. 22세부터 39세 9명을 대상으로 6주간 관찰한 결과 (출처: 생명과학, 생명공학기술, 생화학, 2014) 1~2주 일반식 3~4주는 구아검가수분해물 5~6주는 일반식으로 먹었는데 유익균이 14.7%에서 31.7%로 증가하였고 유해균은 39.4%에서 33.4%로 감소했다고 해요.
4.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개선시켜준다고 합니다.
영양 2006에 따르면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 134명을 대상으로 24주간 1일 5g을 섭취한 결과 설사, 변비 증상이 완화되고 장이 정상화되었다고 해요.
변비 완화에도 도움이 되는데 영양학과 비타민학 저널 1994에 따르면 변비를 앓고 있는 평균 28.7세 여성 15 명은을 대상으로 9주 동안 연구한 결과 일반식은 배변활동이 9.66회 구아 검가 수분 해물을 섭취한 사람은 배변활동이 13.86회로 4.2회가 증가했다고해요. 대변수분도 변비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평균 28.7세 여성으로 9주 관찰한 결과 1~3주 일반식을 먹은 사람은 대변 수분이 69.1%였고 4~6주 구아검가수분해물을 섭취한 사람은 대변 수분이 73.8%였다고 해요.
설사환자 남녀 평균 79.3세를 대상으로 관찰한 결과 1주 차에는 하루 3번 7g 2주 차는 하루 3번 14g 3주 차는 하루 3번 21g 4주 차는 하루 3번 28g으로 늘려 섭취한 결과 대변 내 수분 함량이 감소하고 배변 빈도도 감소했다고 해요.
5. 구아검가수분해물은 포드맵 함량이 낮은 저포드맵 식품이에요. 포드맵은 장내 유해균이 분해해 가스를 발생하게 하고 불편함을 주는 당성분입니다. 포드맵의 함량이 낮으면 저포드맵 식품으로 구아검가수분해물이 해당된다고해요. 몸속에서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아 장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구아검가수분해물 먹는 법.
구아검가수분해물 12.5g을 물 200ml에 섞어서 마신다. 아니면 열에도 강하기 때문에 12.5g을 쌀 400g에 섞어서 먹어도 좋아요. 밥지을때 같이 넣어 물에 녹이셔도 됩니다.
구아검가수분해물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점.
그라스 원료 확인을 해야 한다고 해요. 그라스는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된다 라는 뜻이라고 해요. 미국 식품 의약국에서는 식품에 첨가해도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하는 물질이라고 하네요.
<출처: MBN 엄지의 제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