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나는 몸신이다. 마음 주치의 양재중의 우울증에 대해서.

by 속좁은펭귄 2022. 8. 4.
반응형

실종됐던 한 초등학생이 바닷속에서 부모와 함께 숨진 채 발견되었죠. 사고 발생 2년 전부터 우울증 치료를 받았다는 부모. 극단적인 결과까지 초래하는 마음의 병, 오늘은 나를 힘들게 하는 마음의 병에 대해서 이야기를 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22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가 2017년 68만 명 2021년 91만 명으로 약 33.8%가 증가했다고 해요. 

마음이 병들면 몸도 병듭니다. 당신의 마음이 힘든 이유, 불투명한 미래, 가족간의 불화, 나를 힘들게 하는 것들, 우울한 당신을 위한 마음 주치의의 처방전. 정신과에서 다루는 질환을 일컫는 마음의 병. 

 

 

우울증의 정식명칭은 우울장애입니다. 

마음이 아픈 스트레스 상황에서 종종 가슴을 움켜쥐죠. 하지만 우리의 마음은 가슴이 아니라 뇌 안에 있습니다. 뇌 안에 위치해 마음에 영향을 끼치는 신경전달물질이 약 50가지 이상 존재합니다. 

 

 

신경 전달 물질의 균형이 깨지는 이유는 첫번째가 감당할 수 없는 스트레스 때문입니다. 인생을 흔들 만한 큰 사건들, 사랑하는 가족의 죽음, 이혼, 사업실패와 직장 스트레스 등도 포함됩니다. 금전적인 어려움도 굉장한 스트레스 요인입니다. 

두 번째는 만성적으로 오래 지속되지만 벗어날 수 없는 스트레스입니다. 어머니 세대의 대표적인 예가 시집살이와 고부갈등이에요. 배우자의 갈등까지.

이런 스트레스로 인해 신경 전달 물질의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우울증에 관여하는 주요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의 균형이 깨지면 우울증 및 정신장애를 초래하게 됩니다. 

도파민은 무기력감 혹은 강박적인 중독을 유발하게되고 세로토닌은 부정적인 감정유 바로가 수면의 질을 저하, 노르에 피 프린은 의욕과 활력이 저하된다고 해요.

스트레스 상황 속 우울장애가 나타나는 패턴이에요. 사람 기분이 늘 똑같을 수는 없잖아요. 그러면 사람이 아니라 로봇이죠.

 

 

보통 치료를 받지 않아도 저절로 호전되는 게 우울증이에요. 그럼에도 우울증을 치료해야만 하는 이유는 우울증이 심해진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극단적인 선택 등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료하지 않은 우울증으로 인해  감정은 회복되지 않죠. 원래 가지고 있던 긍정적인 기분보다 가라앉은 감정이 된다고 해요. 우울한 게 성격이 돼버려요.

우울증을 오래 앓는 사람의 특징이 1. 원래 본인의 성격을 기억 못 하고 항상 우울해 있고 신경전달물질 불균형으로 원래 갖고 있던 긍정적인 기분보다 낮은 기분이 기준이 되어버립니다. 2. 스트레스를 감당 못하고 쉽게 재발하게 됩니다. 

5년 이상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감정 곡선은?

 

 

잠시 증상이 나아졌다고 방치하면 더 큰 문제를 불러올 수도 있어요. 극단적인 상황을 피하고 우울한 성격이 되는 걸 막기 위해 우울증은 반드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우울증은 의지의 문제가 아닌 뇌가 보내는 마음이 아프다는 신호로 혼자 앓지 말고 반드시 치료해야 합니다. 

 

 

우울증의 진단기준.

 

 

다음 9가지 증상 중 총 5가지 이상의 증상이 최소 2주간 거의 매일 지속될 경우 우울증이라고 진단한다고 해요.

1. 거의 하루 종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

2. 정신운동 지연 혹은 초조

3. 일상 대부분의 일에서 관심 및 흥미 감소

4. 불면 또는 과다수면

5. 식욕과 체중의 감소 혹은 증가

6. 피곤 또는 에너지의 감소

7. 무가치감, 부적절한 죄책감.

8. 집중력 저하, 우유부단

9.  반복적인 죽음에 대한 생각, 자살시도나 자살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

 

 

진단보다 우울감으로 인해 힘들 때 스스로 인정하는 게 중요하다고 해요. 진단보다 우울감으로 인해 힘들다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해요. 우울증을 겪게 되면 느끼게 되는 기분 증상이 실제 환자를 만나보면 우울하다 슬프다고 표현하기보다는 마음이 가라앉는다. 기분이 가라앉는다라고 표현한다고 해요.

우울하고 슬프면 자연스레 눈물이 많아지게 되는데 우울하다고 말하려고 하면 눈물부터 주르륵 난다고 해요. 평소와 달리 우울감을 느끼거나 불안감 또는 멍한 느낌 그리고 의욕이 사라지는 기분을 느낀다면 우울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출처: channel A 나는 몸신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