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프리한19, 대한민국이 한다면 한다 19. 5~7.

by 속좁은펭귄 2023. 5. 17.
반응형

5. 수원 화성.

조선 정조시대 만들어진 수원화성은 18세기 대표 건축물이지만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으로 심각하게 부숴졌죠. 수원화성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널리 알리고자 수원화성을 복원합니다. 그리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했죠. 그런데 1997년 유네스코 조사단이 현지 조사를 위해 방문했을 당시 지금의 수원화성은 현대에 새롭게 복원된거라며 얼마나 정확하게 복원됐는지 어떻게 알겠냐며 따졌지만 우리나라는 유네스코 위원들을 경악케 한 충격적인 문서를 줍니다. 

 

 

화성 준공 보고서라 할 수 있는 화성성역의궤를 보여줍니다. 설계도 뿐만 아니라 수량과 단가 인부들의 품삯까지 다 적혀있죠. 모든 정보를 그림과 글로 세세하게 기록되어 있죠.

화성 성역의궤를 바탕으로 수원화성을 복원한 결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죠. 복원된 건물로는 이례적으로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된거라고 하네요.

 

 

6. 중국이 탐낸 세계 최고 기술.

2023년 2월 튀르키예 대지진 당시, 주북아일랜드 중국 대사관 총영사관이 SNS에 게시한 글이 있습니다.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차나칼레 대교로

 

 

그런데 알고보니 차나칼레 대교를 건설한 곳은 한국이라고, 총사업비 4조 2천억원에 달하는 세계 최장 현수교 건설 계획을 발표했고, 다르다넬스 해협은 강풍이 불고 센 물살이 휘몰아치는데 약 4km를 연결해야 하는 초고난도 공사로 현수교 건설 기술의 핵심이 주탑 간 거리를 늘리는 거라고해요. 일본도 아카시 해협 대교로 당시 세계 최장 현수교였죠.

 

 

강풍을 이겨 내기 위해 내풍 안정성에 최적화된 유선형 상판을 설치했죠. GPS와 최첨단 경사계를 이용, 오차 범위 20mm 이내로 바닷속에 설치하는데 성공했죠. 주탑 간 거리 2,023m  세계 최장 현수교 건설.

 

 

7. 그 어려운 걸 K- 의술이 해냅니다. 

간경화, 만성 백혈병으로 악화되어 골수 이형성 증후군으루 투병중인 미국 40대 남성, 스*퍼드 에서도 거의 포기했는데 환자가 살길은 생체 간 이식 수술로 마지막 희망은 한 곳 뿐.

 

 

혈소판 16팩 혈액 20팩이 동원된 대수술이었는데 수술은 대성공이었고, 불치병 치료와 수술을 위해 많은 환자가 한국을 옵니다. 

 

 

10년 사이 569% 증가, 정말 대단하네요.

1955년만해도 미국 미네소타 대학 병원 의사들에게 의술을 배웠는데 1988년 첫 간 이식 수술에 성공하고 3년뒤 새로운 간 이식 수술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죠. 이젠 미네소파에서 한국의 의료를 배우러 온다고합니다. 

간 이식 수술 후 생존율이 1년이내가 98% 3년 이내는 90%라고, 이젠 전 세계가 한국 의술을 극찬한다고해요.

 

출처: 프리한19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