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엄지의 제왕, 통증 정복법- 트리거 포인트를 눌러라.

속좁은펭귄 2022. 3. 10. 14:22
반응형

셀프로 통증 정복하는 법은 트리거 포인트를 누르는 거라고 해요. 트리거-유발하다 포인트-핵심 통증 유발 핵심 포인트라는 거예요. 우리 몸에 통 증점들이 존재하고 있는데 통증 매듭이 통증을 유발한 다 고해요.

 

 

 

통증을 유발하는 통증 매듭을 풀면 통증이 해소된다고 해요.

건강 달인은 소유진 어머니 이성애님의 건강관리 비법이더라고요.

 

 

건강비법 1. 20년째 목표 몸무게인 55kg 이하를 유지 중이라고 해요.

2. 아침엔 건강주스로 ABC 주스와 누룽지 커피를 먹는다고 해요. 주스는 밥으로 커피는 국물삼아 아침을 먹는다고해요.

3. 채식 위주의 식사: 강황 밥 먹기 보리, 팥, 강황을 넣어 밥을 짓는다고 해요. 강황은 카레의 주원료로 혈액순환과 소화작용을 돕는데 도움을 줍니다. 

저염 겉절이 만드는 법- 육수에 배, 사과, 무, 양파, 액젓을 넣고 갈아줍니다. 간 양념에 고춧가루를 넣어서 무치고 배추를 무쳐주면 완성이라고 해요.

4. 하루 기본 15000 보이상 걷는다.

5. 간식은 고구마, 견과류 건강식으로 한다.

 

무릎 건강은 현재 양호한 상태라고 해요. 과체중은 무릎 골관절염 위험을 증가시켜주고 1등급 비만이면 무릎 관절염 위험도가 3.1배 높고 2등급 비만은 4.7배나 높다고 해요.

 

 

그린카드로 3종 걷는 법 속보, 뒤로 걷기 까치발 걷기, 까치발 걷기는 바른 자세를 만들어 복근 생성에 도움이 된다고 해요. 종아리근육과 아킬레스건 단련에 도움이 된다고해요. 뒤로 걷기는 발 앞쪽이 지면에 닿으면서 무릎이 받는 충격이 감소합니다. 그래서 무릎 관절 통증 감소에 도움이 됩니다. 뒤로걷기는 무릎 관절염 재활 치료 중 하나예요. 

두 번째 그린카드는 저염식단이라고 해요. 저염식단은 관절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골다공증은 뼈의 주성분인 칼슘이 빠져나와 뼈에 구멍이 난 상태로 대한 골대사학회 2018에 따르면 70세 이상 골다공증 유병률이 68.5% 골감소증까지 포함하면 80%라고 해요.

일본 시마네 대학 2013에 따르면 나트륨 섭취 과다는 비척추 골절 위험이 상승했다고 해요.

 

레드카드는 1. 단백질을 챙겨 먹을 것. 적정 단백질 섭취량을 kg을 g으로 바꾸면 된다고 해요. 체중이 60kg 이면 단백질 섭취량은 60g이라고 해요. 적어도 2/3 섭취를 권장합니다. 단백질 섭취만 더하면 더할 나위 없는 밥상이라고 해요.

2. 간식 과다 섭취라고 해요. 문제는 쉬지 않고 끊임없이 섭취한다는 것. 떡, 과일이 살찌는 음식이 다라는 건 당뇨병 환자나 뱃살이 고민인 경우에 해당된다고 해요. 뱃살이 없이 하루 4시간이상 운동을 한다면 먹을 자격이 된다고해요.

지나치게 적은 단백질 섭취량은 탄수화물 과다 섭취를 부른다고 해요. 쑥떡의 쑥은 3% 내외고 떡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에요. 단백질 섭취는 늘리고 탄수화물 섭취는 줄여야 한다고 해요.

지방 함량이 높은 견과류는 고지혈증 위험이 있습니다. 5년째 고지혈증 약을 먹고 있다고 해요. 고지혈증이 있다면 간식을 줄여야 한다고 해요. 그리고 관절은 많이 쓸수록 많이 닳는 소모품인 데다 콜레스테롤이 높으면 더욱 신경 써야 한다고 해요.

임상의학저널 2021에 따르면 60세 이상 성인 3552만 명을 대상으로 고콜레스테롤 혈증 환자의 무릎 통증이 24%가 증가했다고 해요.

 

무릎 통증 완화하는 트리거 포인트..

 

 

대퇴사두근으로 허벅지 앞쪽에 위치한 근육이에요. 내 측광근은 대퇴사두근의 안쪽 부분에 위치합니다. 트리거 포인트는 통증을 유발하는 핵심 지점으로 풀어주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1. 허벅지 사이에 공을 끼워주세요.

2. 통증이 심한 부위를 20초 정도 세게 눌러서 마사지해주세요.

트리거 포인트는 통증을 느끼는 지압점입니다. 병원에서 침이나 주사를 놓는 부위이기도 하다고 해요. 무릎을 움직여 자극하면서 통증 부위를 풀어주는 게 중요합니다. 근육 통증 증후군에 효과적이라고 해요. 신경질환이나 디스크가 온 경우는 회복이 불가합니다. 관절 통증은 예방이 최선입니다. 

 

<출처: MBN 엄지의 제왕>

 

 

반응형
댓글수0